이슈

저출산 심각! 인구 역대 최대 폭 감소...내년까지 감소 폭 커진다

사선탐정 2023. 9. 4. 09:15
320x100
반응형
신생아 실

저출생·고령화 가속화, 인구 자연 감소폭 역대 최대

저출생과 고령화가 심화하면서 지난 6월 한국의 인구가 동월 기준 역대 최대폭으로 감소했다. 통계청에 따르면 6월 인구는 8205명 자연감소하면서 관련 통계를 작성하기 시작한 1981년 이후 6월 기준 감소 폭이 가장 컸다.

출생아 수가 같은 달 기준 역대 최소인 1만 8615명을 기록한 반면 사망자 수는 동월 기준 역대 최대인 2만 6820명을 기록한 결과다.

올해 상반기 누적 인구 자연 감소 규모는 5만 2032명으로 집계되면서 올해도 연간 10만 명 안팎으로 인구가 자연 감소할 가능성이 커졌다.

연간 인구 자연증가 규모는 1983년에는 51만 5000명에 육박했다. 이후 1993년 48만 2000명, 2003년 24만 9000명, 2013년 17만 명 등 계속 감소하다 2020년 처음 인구가 자연 감소(-3만 3000명)로 전환했다. 2021년과 지난해에도 인구가 각각 5만 7000명, 12만 4000명 줄어드는 등 자연 감소 폭은 커졌는데 올해까지 4년 연속으로 인구가 자연 감소할 것은 확실시된다.

통계청이 2021년 발표한 ‘장래인구추계: 2020∼2070년’를 보면 자연 감소 규모는 2020년 3만 3000명, 2021년 5만 3000명, 2022년 7만 9000명, 2023년 10만 1000명으로 점차 늘다가 2024년 11만 명까지 감소하는 등 정점을 찍고 이후 2025년에는 10만 7000명, 2026년 10만 4000명 등 감소폭은 한동안 축소될 것으로 전망됐다.

이는 중간 수준의 출생률과 기대수명을 가정한 중위 시나리오로 추계한 수치로, 실제 감소 흐름은 이보다 더 빨라지고 있다. 해당 시나리오는 합계출산율(여성 1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자녀 수)은 지난해 0.77명, 올해 0.73명으로 줄다가 내년 0.70명으로 저점을 통과해 2025년 0.74명, 2026년 0.78명으로 반등할 것으로 가정했다.

하지만 올 2분기 합계출산율이 0.70명을 기록, 올해 연간 합계출산율이 0.6명대에 진입할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인구 감소 추세는 더 심화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저출생·고령화는 한국 사회의 가장 큰 과제 중 하나다. 인구 감소로 노동력 부족, 생산성 저하, 소비 위축 등 경제 전반에 걸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고령화로 인한 사회보장비 부담 증가, 노인 일자리 부족 등 사회 문제도 심화될 것으로 우려된다.

저출생·고령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정부와 기업, 국민 모두가 함께 노력해야 한다. 정부는 출산·양육 지원 확대, 고령자 일자리 창출 등 정책적 지원을 강화해야 한다. 기업은 일·가정 양립 지원, 근무 환경 개선 등 근로자의 삶의 질 향상에 힘써야 한다. 국민은 자녀를 낳고 양육하는 데 대한 인식 개선과 실천이 필요하다.

저출생·고령화는 우리 사회가
직면한 근본적인 문제다. 지금부터라도 모두가 함께 노력해 미래세대를 위한 지속가능한 사회를 만들어 가야 할 것이다.

320x100
반응형